직위 | 교수 |
---|---|
전공분야 | 북한정치경제, 남북관계 |
Office | 사회과학대학 415호 |
Office Phone | 880-6236 |
rheeplan@snu.ac.kr | |
Homepage |
학력:
2002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박사
1997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석사
1991 서울대학교 법학과 학사
경력:
2021.3~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2014.1~ 2015.2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방문학자
2006.9~2021.2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2002.6~2006.8 삼성경제연구소 경제안보팀 팀장
기타경력:
2021~현재: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평화ㆍ통일학 전공 주임
2021~현재: 통일평화연구원 통일학 센터 센터장
2021~현재: 통일연구원 비상임 감사
2021~현재: 국방기술품질원 사외 이사
2018.5~2020.4: 정부 업무 평가위원회 위원
1997.1~2002.2: 서울대학교 기획조정실 조교
학술활동
|
<국문> 2022, 『[INSS 국가행동분석-북한] 김정은 정권 10년, 북한 대외행동의 특징과 유형』, 서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공저).
2021, 『김정은 집권 10년 북한 주민 통일의식』, 시흥: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편집자). 2021, 『북한 사회 변동 2021-2020』, 시흥: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편집자). 2021, 『한반도 변화와 남북관계』, 서울: 경남대학교 (공저). 2021, 『2030년 북한 체제변화 전망』, 서울: KBS 한국방송 (공저). 2021, 『대전환시대, 한반도 평화의 새로운 길』, 서울: 동북아평화경제협회 (공저). 2020, 『신한반도체제의 평화협력공동체 형성』, 서울: 통일연구원 (공저). 2020, 『세계 질서의 변화를 읽는 7개의 시선』, 서울: 매디치미디어 (공저) 2018, 『지역, 지역간 협력과 북한문제』, 서울: 아데나워재단 (공편). 2015, 『전환기 쿠바와 북한 비교: 정책적 함의』, 서울: 통일연구원 (공저). 2013, 『현대 북한학 강의』, 서울: 사회평론. (공저) 2013, 『러시아-중국-북한 삼각 협력체제의 전략적 함의: 미국 요인과 한국에서의 시사점』,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공저). 2013, 『DMZ 담론 : 개념사와 새 패러다임의 모색』, 춘천: 강원발전연구원. 2011, 『북한이탈주민을 통해 본 북한 주민의 언론과 사회에 대한 이해』, 서울: 언론진흥재단 (공저). 2011, 『북미 대립 : 탈냉전 속의 냉전 대립』,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공저). 2006, 『북한의 사회문화』, 서울: 한울아카데미 (공저).
2004, 『최근 북한의 가격·유통체제 변화 및 향후 개혁과제: 중국과의 비교 연구 체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공저).
2004, 『미국의 신보수주의 외교전략과 한반도 평화문제』, 서울: 한신사회과학연구소 (공저).
2002, 『북한경제개혁연구』, 서울: 후마티스 (공저).
2002, 『북한의 이해』, 서울: 법문사 (공저). <영문> 2022, Understanding Kim Jong-Un's North Korea: Regime Dynamics, Negotiation, and Engagement, Lanham: Lexington Books (co-authored). 2020, A Pendulum Movement Between the Strategic Patience and the Maximum Pressure and Engagement, Seoul: (The) Research Institute for National Security Affairs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2020, US-DPRK Confrontation in a New Dimension, Kyoto: CEAPC Studies at Ritsumeikan University.
<기타> 2016, 『解剖 北朝鮮リスク』, 東京: 日本經濟新聞出版社 (co-authored).
|
|
5. 역서 |
1999, 『정치란 무엇인가』, 서울: 동문선. |
|
6. 발표 논문 |
<국문> 2022, “북한의 전략국가 지위론과 한반도 리스크관리,” 『역사와 현실』 123.
2022, “조선노동당 제8차대회 당규약 개정과 ‘당중앙의 유일적 영도체계’의 조직적 변화 (With Tae-Kyung Kim),” 『분석과 대안』 6(1). 2021, “조선노동당 제8차대회 당규약 개정과 북한의 전국 혁명론 변화 (With Tae-Kyung Kim),” 『통일정책연구』 30(2). 2020, “볼턴의 강대국 정치와 남북관계의 이행기 자율성,” 『창작과 비평』 189. 2020, “한국형 평화담론에 대한 비판과 성찰,” 『국방연구』 63(3).
2019, “영변 ‘+α’ 논란과 다른 수단으로서의 외교: 하노이회담의 3대 쟁점을 중심으로,” 『동향과 전망』 107.
2018, “남북 교류의 제도화와 저작권 협력의 역할: 역사와 전망,” 『현대북한연구』 21(1). 2018, “쿠바와 북한의 7차 당대회 비교 연구 - 당군관계와 체제론,” 『국방연구』 61(1).
2017, “북한 핵과 사드, 등가성의 재론: 비대칭전력에 대한 억지와 신호 비용을 중심으로,” 『의정연구』 23(3).
2016, “북한의 공세적 대외정책과 경제확장전략: 핵-경제 병진 노선의 역조합,” 『사회과학논총』 18. 2016, “오바마 독트린과 미국의 대북 정책 프레임: 지정학, 핵전략, 불량국가,” 『한국정치연구』 25(1). 2013, “미국의 재균형화와 북한의 수정주의 국가화,” 『유라시아연구』 10(4).
2012, “대북 제재와 북한의 개혁 퇴행, 인과관계의 검증- 시장 위축 vs. 시장 통제,” 『북한연구학회보』 16(1). 2012, “탈냉전기 노태우 정부의 대북정책,” 『정신문화연구』 35(2).
2011, “김일성의 남방정책과 남북기본합의서-냉전 해체의 비대칭성과 동맹 재편 전략의 좌절,” 『역사비평』 97.
2011, “조선 로동당 3차 당 대표자회와 김정일 후계 체제 - 개혁개방기 덩샤오핑의 후계전략과 비교를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8(1).
2010, “북한의 경제법제와 거시경제정책의 이중성: 중국과 베트남 경제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19(1).
2009, “북미대립과 남북관계: 변화와 동조화,” 『정신문화연구』 32(1). 2009, “북미대립과 한미동맹: 변화와 딜레마,” 『한국정치연구』, 18(1). 2008, “참여정부의 남북 경제공동체론 평가,” 『북한연구학회보』 12(1).
2008, “북한의 의사(疑似) 시장 기제와 생존 전략 연구: Dual Economy와 Virtual Economy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24(2). 2008, “북한의 핵 억지와 강제: 역사와 전망,”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13.
2006, “북한의 개방 인식 변화와 신(新)자력갱생론의 등장,” 『현대북한연구』 9(1).
2004, “북핵의 진실게임과 사즉생의 선군정치,” 『현대북한연구』 7(1).
2003, “북한의 신농업정책: 농업 국영화 논쟁과 토지정리사업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46(2).
2002, “북한의 경제 발전론 재론: 1960년대 경제 조정기제의 변화를 중심으로,” 『현대북한연구』 5(1). <영문> 2022, “Kim Jong-Un Regime and a Newly Consolidated ‘Party in Uniform’,”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12.
2021, “North Korea’s Foreign Policy: A Revisionist State, an Alliance with China or a Third Way?” Global Asia 16(3).
2019, “Sanctions for Nuclear Inhibition (with Inwook Kim),” Asian Perspective 43(1).
2015, “Making Sense of North Korea: How to Respond to Pyongyang's Charm Offensive,” Foreign Affairs Jan.
2008, “A Study on the Pseudo-market Coordination Regime in North Korea: Focusing on the Dual Economy and Virtual Economy Phenomena,” East Asian Review 20(4). 2002, “The Implications of North Korea's Reform Program and Its Effects on State Capacity,” Korea and World Affairs 26(3). <기타> 2006, “北朝鮮 核實驗と 論理,” 『世界』. |
|
7. 국제학술대회 발표 |
2022, “역대 한반도 경제구상과 ‘담대한’ 구상,” 2022 한반도 국제 평화 포럼, 서울, 한국, 8월.
2022, “From Economic Peace Theory to Peace-Driven Economy,” 2022 평창 평화 포럼, 평창, 한국, 2월.
2022, “A Newly Consolidated ‘Party in Uniform’ in DPRK and Its Crisis Management System,” [IPUS-GWIKS 공동국제학술회의] Delving into Kim Jong-un’s Ten Years: Economy and Politics, 웨비나 (온라인 화상회의), 2월.
2021, “한반도 정세변화와 북한의 변화 가능성,”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국제학술회의- 한·미 평화통일포럼, 서울, 한국, 12월.
2021, “바이든시대 북미관계 전망,” 2021 한국정치세계학술대회, 서울, 한국, 8월. 2021, “A Prospect for the ‘Politics of Military-first’ of North Korea in Transition,” 2021 IPSA World Congress of Political Science, 웨비나 (온라인 화상회의), 7월. 2021, “북미관계 개선을 위한 조건과 전망,”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국제학술회의- 미중 경쟁시대의 동북아 정세와 한반도, 웨비나 (온라인 화상회의), 7월.
2021, “북한에 대한 이해: 제8차 당대회의 함의와 과제 극복을 위한 전략,” 2021 제주포럼, 제주도, 한국, 6월. 2021,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미관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국제학술회의-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미관계, 웨비나 (온라인 화상회의), 5월. 2021, “PyeongChang Peace-Building Process in Retrospect-Three Years after the Panmunjom Declaration,” 2021 DMZ 포럼, 고양, 한국, 5월.
2021, “평창국제역에서 출발하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남북평화열차,” 2021 평창 포럼, 평창, 한국, 2월.
2020, “ROK-US Coordination to Institutionalize Peace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2020 한반도 국제 평화 포럼, 웨비나 (온라인 화상회의), 12월.
2020, “Northeast Asian Cooperation After Covid-19,” 湖南师范大学 东北亚研究中心, 후난, 중국, 4월.
2020, “2019 東北亞 情勢 分析と 2020 展望,” REAPC, 교토, 일본, 12월. 2019, “Nuclear Issues in Korean Peninsula: After Stockholm…” 2019 한반도 국제 평화 포럼, 워싱턴 D.C, 미국, 11월.
2019, “東北亞 共同体 论坛,” 大韩民国驻沈阳总领事馆, 선양, 중국, 11월.
2019, “韓半島 情勢と 戰略的 提携,” 学校法人慶應義塾, 도쿄, 일본, 10월.
2019, “The U.S.-ROK Alliance and North Korea,” 2019 U.S.-ROK Opinion Leaders Seminar, 워싱턴 D.C, 미국, 7월.
2019, “朝鲜的变化和 朝鲜半岛的 局势” 북경 차세대 한반도 전문가 네트워크 회의, 베이징, 중국, 6월.
2019, “A New Korean Way for Peace and Prosperity,” 리쓰메이칸 대학 국제 심포지움, 교토, 일본, 5월.
2019, “South Korea’s New Approach to Promoting Peace and Prosperity in East Asia,” XiaoXiang Forum 2019, 후난, 중국, 4월.
2019, “中國的 最近 變化與 韓半島,” 韓國-臺灣 學術論壇, 타이페이, 대만, 3월.
2019, “Comparative Perspectives on the Korean Peace Process: From Ireland and Beyond,” 트리니티 대학 세미나, 더블린, 아일랜드, 2월.
2018, “What lies ahead: Negotiations on Sanctions, Peace and Reconciliations,” 한반도 국제 평화 포럼 2018, 워싱턴 D.C, 미국, 12월.
2018, “北核 問題と 韓半島,” 한일공동선언 20주년 기념 학술회의: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와 새로운 한일관계, 오사카, 일본, 10월.
2018, “Self-determined Peaceful Unification and the Unification by Confederacy,” Global Peace Forum on Korea 2018, 콜롬비아, 미국, 9월.
2018, “北東アジア協力と朝鮮半島の平和体制-板門店宣言と 朝共同声明,” 가나가와 대학 세미나, 요코하마, 일본, 7월.
2018, “Peace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ter-Korean Cooperation-The Role of the Neighboring State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 Global Forum 2018, 알마티, 카자흐스탄, 5월.
2017,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China Foreign Affairs University seminar, 베이징, 중국, 12월.
2017, “Can We Still Negotiate with North Korea?” 리쓰메이칸 Workshop on North Korea, 교토, 일본, 11월.
2017, “北東アジアでの秩序の変化と朝鮮半島,” 와세다 대학 세미나, 도쿄, 일본, 10월.
2017, “Internationalization Tasks and Progressive Development Plans for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두만강 포럼, 연변, 중국, 10월.
2017, “현 시대 조선민족문화 발전,” 연변대 남-북-중 국제학술회의, 연변, 중국, 5월.
2015, “北朝鮮式と 改革/開放と 可能性と 限界,” JCER(Tokyo) 세미나, 도쿄, 일본, 10월.
2015, “A Battle for Legitimacy: What Made NK’s Military-first System Different from Cuba’s Junta System?” GW Seminar, 워싱턴 D.C, 미국, 8월.
2015, “Alternative View on Unification: Managing New Winning Coalition in PyongYang,” U.S.-ROK Cooperation, 워싱턴 D.C, 미국, 6월.
2012, “Action Plan for Effectively Inducing Change in North Korea,” 22nd IPSA World Congress of Political Science, 마드리드, 스페인, 7월.
2011, “Going Global Beyond the ‘Catch-22’ with Peninsula Issues Unsolved?” US-Korea Opinion Leaders Seminar, 워싱턴 D.C, 미국, 7월.
2010, “Inter-Korean Relations After the Sinking of ROKS Cheonan and North Korea’s Currency Devaluation,” US-Korea Opinion Leaders Seminar, 워싱턴 D.C, 미국, 7월. |
연구프로젝트
2022, “2022 북한경제사회 심층정보 수집 사업,” 『통일부』.
2021, “2021 북한경제사회 심층정보 수집 사업,” 『통일부』.
2020, “2020 북한경제사회 심층정보 수집 사업,” 『통일부』.
2021, “북한의 노동당 규약 9차 개정안 분석과 대남 정책 전망,” 『통일부』.
2020, “2020 탈북자 의식 조사를 통한 북한 변화 실태 조사,” 『0000』.
2019, “2019 탈북자 의식 조사를 통한 북한 변화 실태 조사,” 『0000』.
2018, “2018 탈북자 의식 조사를 통한 북한 변화 실태 조사,” 『0000』.
2020, “북한의 변화와 한반도 미래,”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2020, “국방대학원 국제 공동 연구 사업,” 『국방대학원』.
2020, “통일방안에 대한 남북 합의 가능성 제고 방안,” 『성공회대 통일연구원』.
2020, “신한반도 체제의 평화협력 공동체 형성,” 『성공회대 통일연구원』.